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2024년 11월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일정 은행별금리 확인 비교정리
    세상이야기 2024. 10. 27. 20:19

    청년도약계좌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란?

     정부기여금(공공재정지급금)으로 지급되는 상품으로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이다.

    만기 5년(60개월)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시 매월 최대 6%의 정부 기여금을 지급,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한다.

     

    납입금액:1천 원~70만 원 내

    금리: 취급기관 자율결정(3년 고정, 2년 변동)

     

    가입신청기간

     

    신청기간 :매월 가입신청 매월 1일 ~11일까지

    심사기간:약 2주

     

    신청 자격

    나이

    계좌 개설 가입일 기준만 19세~34세 이하 

    **병역이행기간(최대 6년)은 연령계산 시 빼고 계산

     

    개인소득

    직전 연도 과세기간의 총 금여액이 7,500만 원 이하,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 원 이하

    **육아휴직급여(육아휴직수당), 군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 제외,

    직전 연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할 시 에는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가능

     

    금융소득종합과세

   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의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

     

    가구소득

    -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 상 배우자, 부모, 자녀, 형제자매(미성년자)를 기준으로 판단

    -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에 해당하는 자 (180%에서 상향됨)

    * 직전 연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할 시 에는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가능

   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250%(연)
    1 인 가구 62,336,760
    2 인 가구 103,684,650
    3 인 가구 133,044,480
    4 인 가구 162,028,920
    5 인 가구 189,920,640
    6 인 가구 216,839,430
    7 인 가구 243,225,450

    출처: 서민금융진흥원-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

     

    지원금액

   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의 지급구조

    개인 소득 기준 정부기여금(단위:월)
    지급한도 매칭비율 한도
    총급여 2,400만원 이하
    (종합소득1,600만원이하)
    40 만원 6.0% 24,000원
    총급여3,600만원 이하
    (종합소득 2,600만원이하)
    50 만원 4.6% 23,000원
    총급여 4,800만원 이하
    (종합소득 3,600만원이하)
    60 만원 3.7% 22,200원
    총급여 6,000만원 이하
    (종합소득 4,800만원이하)
    70 만원 3.0% 21,000원
    총급여 7,500만원 이하
    (종합소득 6,300만원이하)
    - - -

    *육아휴직급여(육아휴직수당)또는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, 총 급여 기준을 준용하여 정부기여금 매칭비율 산정함 <\/p>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유의 사항

    -취급은행 총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가능

    -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및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불가

    -가입일 시점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는 경우 전전 연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-여부가 확인되었을 경우,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이 되는 시점부터 납입중지됨

    -[공공재정환수범]에 따라 부정이익이 확인되는 경우 환수 등의 제재가능

     

    2024년 10월 기준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 

    은행명 금리  은행 추가우대금리조건
    IBK 기업은행 기본 4.50 %~최고 6.00 % -주거래 우대금리,최고 연1.0%p
    -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시점 최초신규고객0.3 %p
    -공과금 자동이체실적 36개월이상 0.2 %p
    -신용(체크)카드 이용실적만기까지 200만원이상보유 우대금리,0.2 %p
    -가입시점 마케팅문자수신동의상태 0.1 %p

    KB 국민은행 기본 4.50 %~최고 6.00 % -최초3년 연4.5%/3년초과~5년이내  당사홈페이지에 게시한 본 적금의 고시이율적용
    -신규일포함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급여입금월수 36회 이상 0.6 %p
    -계약기간중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0.1 %p
    - 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 
    -우대금리는 만기해지 계좌에 대하여
    NH 농협은행 기본 4.50 %~최고 6.00 %  -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말까지 급여이체실적 12~50개월 있을시 0.1 ~0.5 %p
    -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말까지 신용,체크카드 월평균 20만원 이상 이용실적 있을시 0.2%p
    -이적금 가입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.적금 보유하지않고,NH청년희망적금만기해지고객 0.1 %p
    -가입시점에 상품서비스안내 전체동의고객 0.2 %p
    신한은행 기본 4.50 %~최고 6.00 % -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후 입출금통장 30개월이상 급여이체 실적이 있는경우 0.3  %p
    -가입후 입출금통장 으로 30개월이상 카드(신용,체크)결제실적있는경우 0.3%p
    -가입직전1년간 신한은행 정기예금.적금.주택청약이 없었던고객 0.4 %p
    우리은행 기본 4.50 %~최고 6.00 % -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후 입출금곅좌로 급여이체 월50만원이상 1 %p
    -가입직전1년간 정기예금.적금 보유하지않은경우 0.5 %p
    -가입후 입출금통장으로카드(신용,체크)결제실적보유 월10만원이상 0.5 %p
    하나은행 기본 4.50 %~최고 6.00 % -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후 만기 전전월말 기준,본인명의 하나은행 입출금통장으로 36회이상급여입금 또는 가맹점 입금실적보유0.6 %p
    + 월 합산 10만원 이상의 하나카드 결제실적(신용,체크)보유0.2 %p
    -가입후 직전1년간 적금 또는 예금 미보유한경우 연0.1 %p
    -가입전 하나은행 마케팅모두동의한경우 0.1 %p
    iM 뱅크 기본 4.00 %~최고 6.00 % -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전 마케팅활용모두동의시 0.3 %p
    -가입전 당행에서 가입한 주택청약종합저축보유고객 0.5 %p
    -가입기간중 입출금계좌에서 자동이체 30회이상입금한 경우 0.7 %p
    경남은행 기본 4.00 %~최고 6.00 % -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일기준 직전1년간 거치식/적립식예금 신규 및 해지이력없는고객 0.4 %p
    -가입시점 당행에서 가입한 주택청약종합저축보유고객 0.4 %p
    -계약기간의 1/2 이상 둘중하나의 주거래입금실적보유(급여이체실적보유/가맹점결제대금입금실적보유)0.7 %p
    부산은행 기본  4.00 %~최고 6.00 % -소득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전3년이내 예적금가입이력없는고객 0.5 %p
    -카드(신용,체크)실적우대이율 매입금액5백만원이상 0.5 %p
    -급여실적우대이율 가입기간중30개월이상급여납입 0.5 %p
    전북은행 기본 3.80 %~최고 6.00 % -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월부터 만기전전월까지 30개월이상급여이체실적이 월 건당50만원이상인경우 0.7 %p
    -위의 기간동안 카드(신용/체크)사용실적이 30회이상 있는경우 0.5 %p
    - 위의 기간동안 30회이상 자동이체로예금에 입금시 0.5 %p
    -가입시 마케팅활용모두동의시 0.2 %p
    광주은행 기본 3.80 %~최고 6.00 % -소득 우대금리 ,최고 연 0.5 %p
    -가입일 전일자기준 최근1년 동안 당행정기예금/적금계좌 없거나 신규 또는 해지거래이력이 없는경우 0.5 %p
    -가입일부터 만기 전월말까지 본인 명의의 당행 카드(신용,체크)카드사용금액 500만원이상인경우 0.5 %p
    -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말까지 당행입출금 계좌로 급여이체 입금실적 30회이상0.5 %p
    -만기해지시 해지원금 3천만원 이상인경우 0.2 %p

    중도해지 

     

    3년 이상 유지후 중도해지하는 경우 비과세를 적용하고 정부기여금도 매칭비율 60% 수준으로 지급

     

    특별중도해지 사유 혼인, 출산 추가 /하는 경우 비과세적용 및 정부기여금 지급

     

    문의

    전화: 1397->바로연결번호 3번

    채팅상담: 카카오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

    홈페이지: 서민금융진흥원

     

    서민금융진흥원 |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

   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 개인요건 및 가구원 최신화 ※ 본인 나이 및 주민등록표등본 기준의 가구원 정보에 이상이 없는 경우,별도로 최신화를 신청하실 필요는 없습니다. (바로 가구원 동의절

    ylaccount.kinfa.or.kr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